해외

전체기사 보기

우리軍 군사정찰 위성2호기 지상국과교신성공

24시간‘독자적인 北감시’…한국형 3축 체계 구축

우리軍 군사정찰 위성2호기 지상국과교신성공

[사진 설명] 우리군 군사정찰위성 2호기가 8일 08시 17분(한국시간) 미국 케네디스페이스센터에서 정상적으로 발사된 모습 [사진 설명] 우리군 군사정찰위성 2호기가 8일 08시 17분(한국시간) 미국 케네디스페이스센터에서 정상적으로 발사된 모습 [세종=뉴스포탈] 윤용석 기자 = 고성능 영상 레이더(SAR)를 탑재해 날씨와 상관없이 주야간 정밀촬영이 가능한 우리 군의 군사정찰위성 2호기가 8일 우주궤도 진입 후 지상국과 교신에 성공했다.국방부는 이날 “우리군 군사정찰위성 2호가 한국시각 4월 8일 10시 57분 해외지상국과 본 교신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정찰위성 2호기를 탑재한 미국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발사체 팰컨9가 이날 한국시간 오전 8시 17분(현지시간 7일 오후 7시 17분)에 미 캘리포니아 소재 케네디 스페이스센터에서 발사된 지 2시간 40분 만이다. 팰컨9는 발사 45분 만인 9시 2분 2단 추진체에서 분리돼 우주궤도에 정상적으로 진입했다. 원래 9시 11분쯤 교신 예정이었으나 해외 지상국과 시도한 예비교신이 진행되지 않았다. 이후 10시 57분 교신에 성공하면서 우리군 정찰위성 2호기의 발사 성공이 명확히 확인됐다. 국방부는 “이번 발사 성공으로 확보되는 군 최초 SAR 위성을 통해 우리 군의 독자적인 정보감시정찰 능력이 더욱 강화됐다. 향후 후속 위성발사도 차질 없이 추진해 가겠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해 12월 발사한 1호기는 전자광학(EO) 및 적외선(IR) 촬영 장비를 탑재했다. EO·IR 위성(1호기)도 주야간 촬영은 가능하나 기상 조건에 영향을 받는다. 우리나라는 흐린 날이 70%에 달하기 때문에 EO 장비로 촬영하면 표적을 관측하기 어려운 날이 많다. 이번에 발사한 2호기는 SAR 위성으로 SAR은 전자파를 지상 목표물에 쏜 뒤 반사돼 돌아오는 신호 데이터를 합성해 영상을 만드는 방식이어서 기상 조건과 관계없이 주야간 촬영이 가능하다. 날씨와 무관하게 북한의 동태를 살필 수 있어 국방부는 ‘한국형 3축 체계’에 기반이 되는 대북 감시·정찰 능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한국형 3축 체계란 적 미사일의 발사 징후를 사전에 포착해 발사 전에 제거하는 킬체인에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KAMD)와 대량응징보복(KMPR)을 더한 개념이다. 앞으로 정찰위성 2호기는 수개월간의 운용시험평가를 거쳐 대북 감시·정찰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1호기는 하루에 두 번 한반도를 재방문할 수 있지만 2호기는 하루 4~6회 정도로 2배 이상 자주 방문해 촬영할 수 있다. 특정 지역의 방문을 최적화하기 위해 설계된 경사궤도를 돌기 때문이다. 국방부는 향후 ‘425사업’으로 정찰위성 5기를 확보할 예정이다. 3~5호기도 모두 SAR 위성이다. 정찰위성 5기를 모두 확보하면 북한 내 특정 표적을 2시간 단위로 감시하고 정찰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방부는 425사업으로 확보하는 중대형 정찰위성 5기 말고도 2030년까지 소형 및 초소형 정찰위성 50~60기 확보도 추진 중이다. 중대형 정찰위성 5기는 모두 미국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에 탑재돼 발사되는 것과 달리 무게 500㎏ 미만인 소형 정찰위성과 무게 100㎏ 미만인 초소형 정찰위성은 우리나라가 독자 개발한 고체연료 우주발사체에 탑재돼 발사될 예정이다. 발사 시기는 소형 정찰위성이 2026~28년, 초소형 정찰위성이 2028~30년이다. 이날 현장에서 발사를 지켜본 이영수 공군참모총장은 “어떤 기상조건에도 모든 도발을 감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되는 시발점”이라며 “앞으로 초소형 정찰위성과 함께 통합 운용해서 3축 체계, 킬체인의 완전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함께 지켜본 석종건 방위사업청장은 “국내 위성산업 인프라 증대와 우주강국 도약의 기틀을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skcy21@newsportal.kr

버튼누르면하늘로나는세계첫 '플라잉카'나왔다

버튼누르면하늘로나는세계첫 '플라잉카'나왔다

[사진 설명] 세계 최초의 ‘플라잉카’(하늘을 나는 자동차·비행 자동차)모델A 모습 [해외=뉴스포탈] 윤용석 기자 = 달리다가 버튼을 누르면 하늘을 나는세계 최초의 ‘플라잉카’(하늘을 나는 자동차·비행 자동차)가 26일 공개됐다. 스페인 바르셀로나 피라 그란비아에서 이날 개막된 세계 최대 통신기술 전시회 ‘모바일 월드콩그레스(MWC)’에서 최대의 볼거리는 역시 플라잉카였다. 현지매체들에 따르면미국 모빌리티 스타트업인 알레프 에어로노틱스는 이날 이곳에서 세계 최초의 플라잉카 시제품(프로토타입)을 공개했다. 알레프 에어로노틱스는 테슬라와 스페이스X 창업자 일론 머스크가 지원한 것으로 알려진 스타트업이다. 차 이름도 테슬라 시리즈와 비슷한 ‘모델A’다. 전시용이 아니라 실제 비행이 가능한 모델A 시제품이 대중에 공개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모델A는 지난해 미국 연방항공청(FAA)의 ‘비행시험 허가증’인 특별 감항인증을 받고 그동안 상용화를 준비해왔다. 모델A는 2인승이다. 한 번에 1시간 이상 비행할 수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최고 속도는 시속 56㎞, 항속 거리(이륙 순간부터 탑재된 연료를 전부 사용할 때까지의 운행 비행거리)는 170㎞로 속도가 빠르지는 않은 편이다. 전시장은 개막 직후부터 모델A를 보러 온 관람객들로 붐볐다. “이게 정말 가능한 일이냐”며 곳곳에서 감탄사가 이어졌다. 짐 두코브니 알레프 에어로노틱스 최고경영자(CEO)는 “활주로가 필요한 기체가 아니다”라며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며 자동차처럼 운전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플라잉카”라고 강조했다. 그동안 플라잉카로 거론된 제품 상당수는 활주로가 필요한 전기 헬리콥터에 가까웠다. 두코브니 CEO는 상용화 희망 시기를 내년 말로 제시했다. 판매 가격은 3억~4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전문가들은 공중과 지상을 모두 주행할 수 있는 플라잉카가 등장한 것은 획기적인 일이라고 입을 모았다. 미래 모빌리티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는 평가다. 이번 MWC 현장에선 도심항공교통(UAM) 기술의 진화도 볼 수 있다. UAM은 전기로 구동하는 전기수직이착륙기(eVTOL) 기반 항공 서비스(택시)다. SK텔레콤은 전시장에서 실물과 같은 크기의 UAM 시뮬레이터를 운영했다. 고정된 기체를 가상현실(VR) 장비로 체험하던 과거 운영 방식과 달랐다. 와이어를 연결해 기체를 들어 올려 실제 타고 날아가는 경험을 선사했다. 비행 중 연계 교통, 배터리 충전, 인포테인먼트 등 주요 서비스도 공개했다. KT는 UAM 관제 기술을 체험할 공간을 마련했다. 고층 빌딩이나 비행금지 구역을 피해 최적의 하늘길을 알려주는 ‘지능형 UAM 교통관리시스템(UATM)’, UAM 안에서도 통신이 잘 이뤄지게 하는 기술 등을 소개했다. 추후 UAM 시대가 본격화하면 관련 기술이 새 먹거리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UAM은 내년부터 각국에서 상용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업계에선 이번 MWC를 기점으로 미래 모빌리티를 위한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 발전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고 있다. 플라잉카, UAM 모두 상공에서 안정적인 품질을 유지하고 장애물 추돌을 막을 초고신뢰·초고속·초광대역 통신 및 관제 기술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 밖에 자동차와 연계한 기기로 틈새시장을 발굴하고 나선 기업도 눈에 띄었다. 중국 아너는 사용자가 화면을 보기만 해도 원격으로 자동차 문을 열고 움직일 수 있는 스마트폰 ‘매직 6 프로’를 선보였다. 시선 추적 AI 기능 등이 특징이다. 중국 샤오미는 스마트폰 ‘샤오미14’ 시리즈의 글로벌 출시를 선언하면서 추후 전기차 ‘SU7’과 연동하겠다는 전략을 내놨다. skcy21@newsportal.kr

모리스창TSMC창업자“日반도체르네상스시작”

日, 1차 제1공장에 4760억 엔, 2차 제2공장에 7320억 엔 추가지원

모리스 창 TSMC 창업자가 24일 일본 구마모토현에서 열린 제1공장 개소식에서 일본 반도체 생산의 르네상스가 시작됐다고 말했다11.jpg

[사진 설명] 모리스 창 대만 TSMC 창업자는 24일 일본 구마모토현에서 열린 제1공장 개소식에서 일본 반도체 생산의 르네상스가 시작됐다고 말했다. [해외=뉴스포탈] 윤용석 기자 = 세계 최대 반도체 위탁제조(파운드리) 기업인 대만 TSMC의 모리스 창 창업자가 24일 일본 구마모토현에서 열린 ‘TSMC 제1공장 개소식’에서 “일본 반도체 생산의 르네상스(부흥)가 시작됐다”고 말했다. 모리스 창 창업자는 이날 오후 2시부터 구마모토현의 TSMC 1공장에서 열린 개소식 행사에 참석해 이렇게 말했다. 행사에 오지 못한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영상 메시지를 보내 “반도체는 디지털화와 탈탄소화의 실현에 불가결한 핵심 테크놀로지”라며 “일본 정부는 첨단 반도체의 국내 생산 기반 정비를 위해 전례가 없는 대담한 지원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이미 TSMC의 제1공장에 보조금으로 4760억엔을 지원했다. 기시다 총리는 이날 추가로 제2공장에 최대 7320억엔(약 6조5000억원)을 지원한 방침임을 밝혔다. 외국 기업에 무려 1조2000억엔의 현금을 지원하는 셈이다.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TSMC의 세계 전략에 일본이 중요한 거점으로 명확하게 자리잡은 것을 환영한다”며 “일본 정부는 앞으로도 예산, 세제, 규제 개혁과 같은 지원책을 스피디하게 실행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일본측 최고위급인 사이토 겐 경제산업상은 “사실 7320억엔의 보조금과 (이미 지급한) 1공장 보증금을 합치면 1조엔을 넘는 거액 지원인 것은 맞는다”며 “하지만 지금 전세계는 반도체 제조 능력 확보를 위해 각국이 거액 예산을 투입하는 대경쟁 시대를 맞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앞으로 산업 발전과 경제안전보장의 측면에서 이 같은 지원이 나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TSMC는 이날 오후 2시에 일본 구마모토현의 작은 마을 기쿠요마치(菊陽町)에서 신(新)공장 개소식을 가졌다.이 공장은 TSMC가 일본 소니, 덴소 등과 함께 설립한 현지 법인 JASM(Japan Advanc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이 보유·운영·관리한다. 지분의 80% 이상을 TSMC가 보유한다. TSMC는 이날 1공장의 개소식에 이어 다음달부터 본격적인 반도체 장비 반입을 시작해 올 4분기쯤 대량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신공장은 지상 4층, 지하 2층이다. TSMC는 1공장의 바로 옆 용지에 올 연말쯤 2공장을 착공해 2027년부터 양산할 계획이다. 1공장은 다소 뒤쳐진 기술인 12~28나노미터의 생산 공정 라인이며, 2공장은 6~7나노미터로 최첨단 공정라인이다. 1·2공장을 합친 투자액은 200억달러(약 26조원) 이상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일본 현지 매체들은 “TSMC가 조만간 최첨단 3nm인 3공장의 건설도 발표할 것”이라고 보도하고 있다. skcy21@newsportal.kr

일론머스크'뉴럴링크',인간뇌에 칩이식 첫성공

지난해 5월 美 식품의약국 임상승인, 9월 참가자 모집

일론머스크'뉴럴링크',인간뇌에 칩이식 첫성공

일론 머스크 모습 [해외=뉴스포탈] 윤용석 기자 =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운영하는 뇌 임플란트 스타트업 '뉴럴링크'가 인간의 뇌에 컴퓨터 칩을 이식하는 데 첫 성공했다. 지난해 9월 임상 시험 참가자 모집에 나선 지 4개월 만이다. 29일(현지 시각) 머스크는 자신의 X에 “어제 뉴럴링크의 (칩) 이식을 받은 첫 번째 환자가 잘 회복하고 있다”며 “초기 결과로는 환자가 양호한 뉴런 스파이크(신경 자극)를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뉴럴링크의 첫 제품은 텔레파시(Telepathy)”라며 “생각만으로 휴대전화나 컴퓨터는 물론 거의 모든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일론머스크 X캡쳐 뉴럴링크의 첫 이식은 지난해 5월 미 식품의약국(FDA)의임상승인을 받은 지 8개월 만이다. 뉴럴링크는 지난해 9월 인간의 뇌에 컴퓨터 칩을 이식하기 위한 임상시험 참가자를 모집하기 시작했다.뉴럴링크는 신체가 마비된 사람들의 뇌에 마이크로 칩을 이식하고그들의 생각을 이용해 몸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시각을 잃었거나 근육을 움직이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머스크는“선천적으로 시각장애인으로 태어나 눈을 한 번도 쓰지 못한 사람도 시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skcy21@newsportal.kr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